[경제읽기] 이스라엘·하마스 충돌…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고조<br /><br /><br />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팔레스타인 무장세력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무력충돌이 발생하며 피해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 글로벌 금융시장에도 긴장감이 커지고 있는데요?<br /><br />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며 국제유가가 4% 이상 급등하는 등 그렇지 않아도 최근 오름세를 보였던 유가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이번 무력 충돌이 국제 석유 시장에 미칠 영향을 놓고는 "배럴당 최고 15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", "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"라며 의견이 엇갈리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?<br /><br /> 국제유가가 급등했지만, 미국 주식시장은 하락할 거란 예상과 달리 상승 마감했습니다. 코스피도 1% 넘게 상승 출발했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한편,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무력충돌로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도 초긴장 상태에서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 직접적인 피해 여부는 확인되고 있나요?<br /><br />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충돌이 우리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은 어떨지도 궁금합니다. 정부는 이달부터 물가가 안정되고 수출도 증가세로 돌아서며 본격적인 '상저하고'가 시작될 것으로 기대했는데 불확실성이 더 확대되진 않을까요? 당장 국제유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데 물가 영향은 어떨까요?<br /><br /> 누적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인상 기조에 있는 전기와 가스 등 에너지 요금도 지금보다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질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올해 2분기 자영업자 가구가 이자 비용과 세금 등을 빼고 실제로 쓸 수 있는 돈이 20%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가구의 실질 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보다 19.5% 줄었고 고용원이 없는 곳도 16.2% 감소했는데 왜 이렇게 소득 감소 폭이 커진 건가요?<br /><br /> 문제는 자영업자 가구의 실질 처분가능소득 감소 폭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대출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는 겁니다. 연체율도 연일 올라가고 있는데 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요?<br /><br />#이스라엘 #하마스 #국제유가 #금융시장 #경제읽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